[역설] 붉은 여왕의 역설 (또는 붉은 여왕 가설)
붉은 여왕의 역설은 무엇인가?
이상한 나라의 엘리스의 후속작인 거울 나라의 엘리스에 나오는 이야기이다. 거울나라의 붉은 여왕이 이렇게 말한다.
"같은곳에 있으려면 어디론가 끊임없이 달려야 한다. 어딘가로 가고싶다면 그보다 훨씬 더 빨리 달려야 한다."
거울 나라에서는 제자리에 멈춰있으면 자신도 모르게 뒤쪽으로 이동해 버리고, 그 자리에 멈춰있으려면 끊임없이 달려야 하는 기묘한 법칙이 존재한다. 이는 그 세계가 주변의 물체가 움직이면 주변의 세계도 같이 연동하여 움직이기 때문이며, 앞으로 나아가려면 죽어라 달릴 수밖에 없는 거울 나라를 상징하는 역설이다.
이것이 왜 역설인가?
멈춰있다는 것은 정지한다는 뜻. 즉, 위치가 변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위치가 변하지 않으면 이동하지 않는다는 뜻과 같다. 그러나 이 역설에서는 멈춰있으면 뒤쪽으로 이동한다고 하였으니 일반 상식에 어긋나는 이야기를 하고 있다. 따라서 이것은 역설이라 할 수 있다.
실생활의 예시는 없을까?
붉은 여왕의 역설이 적용되는 예시는 매우 많다. 고속도로에서 주변의 자동차가 100km/h의 속력으로 간다. 그렇다면 당신도 100km/h에 맞게 달려야 창문을 통해 바라볼때 정지한것 "처럼" 느끼게 된다. 조금 더 자세히 풀어 이야기 하면 다음과 같다. "(주변 자동차에 대한 상대적 위치가) 같은곳에 있으려면 어디론가(절대적 위치의 관점에서 다른 자동차와 같은방향, 같은속력으로) 끊임없이 달려야 한다. 어딘가로 가고싶다면 그보다 훨씬 더 빨리 달려야 한다."가 되겟다.
이 외에도 다른 나라보다 강해지지는 않더라도 약해지지 않기 위해 국방비를 끊임없이 늘리는 모습, 학생들의 입시경쟁, 시장의 흐름을 따라 혁신하는 기업들, 도태되지 않기위해 끊임없이 변화하고 진화하는 생물들 등 과학, 경제, 정치, 교육분야 가리지 않고 비슷한 예시는 찾을 수 있다.
그래서 이 역설의 약점은 뭘까?
위치와 속력은 누구에게나 공평하고 똑같아 보이지 않는다는 점을 명확히 하면 된다.
내 주변 모든 자동차가 100km/h라면 나 역시 100km/h로 이동해야 나는 정지한것처럼 느끼게 된다.
하지만 그건 내가 보는 입장에서 그렇다는것이고, 도로 서 있는 사람의 입장에서도 정지해 있는 것으로 보일까? 물론 그렇지 않다.
따라서
"같은곳에 있으려면 어디론가 끊임없이 달려야 한다. 어딘가로 가고싶다면 그보다 훨씬 더 빨리 달려야 한다."라고 할 때, 누구의 관점에서 같은곳에 있는지, 누구의 관점에서 달린다는 것인지 등 관찰자의 대상을 구체적으로 서술을 하면 해결이 된다.
붉은여왕의 역설은 문장을 이어가는 도중 관찰자를 자연스럽게 바꾸기 때문에 생기는 오류이다.